URI 설계 규칙
정보의 자원은 URI로 표현
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 (GET, POST, PUT, DELETE 등)로 표현
PATCH /members/1
자원의 표현은 JSON 포맷으로 데이터 전달
슬래시 ****(/ )는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
URI 마지막 문자로 슬래시(/ )를 포함하지 않음
긴 URI경로의 경우 언더바 대신 하이픈(-)을 사용
밑줄(_)은 URI에 사용하지 않음
URI 경로에는 소문자가 적합
리소스간의 연관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
HTTP Method 설계 규칙
본래 목적에 맞게 HTTP Method를 사용
METHOD | 역할 |
---|---|
POST | POS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생성 |
GET | GE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조회. |
PUT | PUT을 통해 해당 리소스 전체를 수정 |
PATCH | PATCH을 통해 해당 리소스 일부를 수정 |
DELETE | DELETE를 통해 리소스를 삭제 |
Non-RestFul : 이 프로젝트에서는 자원을 제거할때 DB에서 해당 row를 삭제하는 것이 아닌 status 칼럼의 값만 “ACTIVE”에서 “INACTIVE”로 변경 시켜주는 것이기 때문에 Delete Method 대신 Patch를 사용하였습니다.
HTTP 응답 상태코드 설계 규칙
참고
상태코드 | 설명 |
---|---|
200 (OK) |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는 의미 |
301 (Permanently Moved) | 요청한 리소스의 URI가 변경되었다는 의미 |
400 (Bad Request) | 잘못된 요청으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다는 의미 |
401 Unauthorized | 해당 리소스에 유효한 인증 자격 증명이 없어 요청에 실패한 상태를 의미 |
403 Forbidden | 서버에 요청이 전달되었지만, 권한 때문에 거절된 상태를 의미 |
500 (Internal Server Error) | 서버에서 처리할 수 없는 내부 오류가 발생했다는 의미 |
Non-RestFul